본문 바로가기

통합검색

교육 과감한 도전! 능동적 혁신!

재료공학부

재료공학부는 디스플레이, 휴대폰, 반도체 등의 전자/정보기기 산업에 필요한 정보기술(IT: Information Technology) 관련소재와 이차전지, 수소연료전지, 태양전지 등의 미래 에너지 산업에 핵심이 될 에너지기술(ET: Energy Technology) 관련 소재,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친환경 기술 및 관련소재(GT: Green Technology) 및 디스플레이, 휴대폰, 반도체 등의 첨단산업의 바탕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(Nano Technology) 관련소재의 물리적, 화학적, 기계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응용을 다루는 학부입니다.
우리 학부에서는 국가기간산업 및 중화학공업과 첨단소재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정보/전자 및 반도체소자, 나노소재, 신금속, 철강 및 비철소재, 고분자소재, 탄소복합소재, 자동차소재, 항공우주소재, 환경에너지재료, 이차전지 및 태양전지 소재, 파인세라믹스, 조선공업소재, 유연웨어러블소재, 친환경고분자소재, 바이오헬스소재, 각종 기계부품소재 등을 연구, 개발, 제조하는데 필수적인 핵심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졸업 후 국내외 산업체에서 창조적이고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학도를 배출하고, 첨단 미래 산업사회를 이끌어갈 중심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.

고분자공학전공

고분자공학전공 Departmen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

고분자공학전공은 이차전지, 반도체, 바이오 의료, 탄소나노복합소재, 정밀 화학소재 등 첨단 산업을 선도하는 고분자 신소재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고분자 소재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, 반도체용 초순수 정제 필터, 신약 개발을 위한 바이오 소재,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의 중심에 있습니다. 이에 따라, 고분자공학전공은 미래 산업을 이끄는 필수적인 공학 분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
고분자공학전공에서는 기초 과학(화학, 물리, 생명과학)을 바탕으로 화학공학, 신소재공학, 나노공학 등 융합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설계했습니다. 졸업 후에는 소재·화학·반도체·배터리·바이오 산업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에서 활약할 수 있습니다.

신소재공학전공

신소재공학전공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

신소재공학전공은 디스플레이, 휴대폰, 반도체 등의 전자/정보기기 산업에 필요한 정보기술(IT: Information Technology) 관련소재와 이차전지, 수소연료전지, 태양전지 등의 미래 에너지 산업에 핵심이 될 에너지기술(ET: Energy Technology) 관련소재 및 디스플레이, 휴대폰, 반도체 등의 첨단산업의 바탕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(Nano Technology) 관련소재의 물리적, 화학적, 기계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응용을 다루는 전공입니다.
우리 전공에서는 국가기간산업 및 중화학공업과 첨단소재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정보/전자 및 반도체소자, 나노소재, 신금속, 철강 및 비철소재, 자동차소재, 항공우주소재, 환경에너지재료, 이차전지 및 태양전지 소재, 파인세라믹스, 조선공업소재, 각종 기계부품소재 등을 연구, 개발, 제조하는데 필수적인 핵심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졸업 후 국내외 산업체에서 창조적이고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학도를 배출하고, 첨단 미래 산업사회를 이끌어갈 중심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.